본문 바로가기

용접교육

용접치공구에 대한 이해, 분류, 종류


Ⅰ. 용접 치공구 분류



용접기를 설치하면서 필요한 공기구 및 용접 진행시 용접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하 는 치공구 그리고 검사단계에서 필요한 각종 공기구 및 장비를 총칭한다.

 

 


1. 용접기 설치 및 어스선 연결


(1) 1, 2차 케이블 연결 시 단자 조임상태에 맞는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 및 해지 상태에서 맞는 치공구를 선정한다.

(3) 용접 관련부품 교체 시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 진행시


(1) 용접부 청결상태 유지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부 결함여부와 관계되는 문제점 해결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3) 용접 장비 문제점 발생 시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4) 용접 완료후 검사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3. 공정별 치공구

 


(1) 용접기 및 WIER FEEDER 설치 시 필요한 공구류
- 몽키스패너, 육각렌치, 드라이버, 니퍼/뺀치

 


(2) 용접진행 시 필요한 공구
- 슬래그 해머, 와이어브러쉬, 그라인더, 육각렌치, 니퍼/뺀치, 전류계


(3) 검사 시 필요한 치공구
- 와이어브러쉬, 슬래그 햄머, AIR(에어) 그라인더, 용접게이지

 

 

 

 




Ⅱ. 용접 치공구 관리

 


1. 몽키 스패너


(1) 용도
입의 벌린 폭을 조정하여 크고 작은 임의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때 사용하는 공 구로 용접기 설치 및 피더 설치 그리고 부품 교체 시 사용한다.

 

(2) 종류
입의 벌림 크기에 따라 100mm 부터 450mm 까지 있으며 규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 한다.


(3) 사용방법
머리 부분 나사산을 움직여 크게 벌리거나 좁히면서 사용한다.

(4) 주의사항
사용 시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손잡이 부위를 망치 등으로 가격하여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니퍼 및 롱로즈플라이어


(1) 용도
동선류 및 철선류의 절단 및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데 사용하는 기본 공구로 CO2 용접 시 WIER 교체 및 부품 정비 시 사용하는 것으로 치공구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2) 종류
4인치와 6인치

(3) 사용방법
손잡이를 벌리고 좁히는 형태로 사용한다.

 

 

 



3. 드라이버

 

(1) 용도
나사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수동식 공구로 용접기 본체 덮게 해체 및 조립, 용접 TORCH부 고장 시 나사의 풀고 조임에 사용한다.


(2) 종류
끝부분 형상에 따라 일자(ㅡ),십자(十)로 구분한다.


(3) 사용방법
나사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대부분 오른쪽으로 돌리면 잠기고 왼 쪽으로 돌리면 풀리므로 반드시 나사의 크기에 맞는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4. 육각렌치

 

(1) 용도
6각소켓 구멍붙이 볼트멈춤나사를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하는 공구로 육각봉 스패너라 고도 하며 WIRE FEEDER와 TORCH연결부 조임 시 그리고 스프링 라이너 교체 시 사용한다.


(2) 종류
렌치의 크기는 육각 대변의 치수로 나타낸다. 1.5mm에서 30mm정도의 것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CO2 용접 시 1.5∼10mm정도가 많이 쓰인다.

 

(3) 사용방법

볼트나 너트의 크기에 맞는 규격을 선택하고 육각형상에 정확하게 삽입 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조이고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풀리게 된다.


(4) 주의사항
렌치의 삽입부가 망가지지 않도록 안쪽의 이물질 잔류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하게 투입 후 회전시켜야 한다.

 




5. 용접 게이지

 

(1) 용도
(가) 용접 후 용접 상태를 알기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각장 및 각목크기 확인한다.

(나) 용접 전 갭 상태 확인 및 BUTT부위 개선각 확인한다.
(다) BEAD폭 및 높이 등을 확인 하는데 사용한다.

(2) 사용 시 주의사항.
(가) 외부 손상에 의하여 측정 오차가 발생함으로 취급 시 주의해야 한다.

(나) 비드를 WIRE BRUSH로 깨끗이 한 후 측정해야 한다.

 

 

 

 

 


6. 전류계


(1) 용도
직류 또는 교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계기.

(2) 특징
전류계는 전류 값이 클 때는 전류위 작은 양만이 계기의 측정 장치로 직접 흐르고 계 기 장치에 병렬 연결된 분류기로 나머지 대부분의 양를 흐르게 하여 넓은 영역의 전류 값을 측정 한다.

(3) 종류
가동 코일전류계, 열 전류계, 디지털 전류계가 있다.

 

 

 


7. 에어 치핑 햄머

 

 

(1) 용도
일명 코킹이라고 하는 것으로 맞대기 용접 시 깊은 슬래그 제거용으로 주로 사용하며 주로 에어를 이용한다.


(2) 특징
두꺼운 개선된 모재의 용접 시 일반 슬래그 해머로 제거 시 시간이 걸리고 잘 제거되 지 않을시 사용한다. 앞모양이 와이어와 봉을 이용한 것들이 있다.

 

 

 


Ⅲ. 용접치공구 관리하기

 

 

1. 일반 치공구

가. 몽키 스패너 사용 시 무리하게 힘을 가할
 
경우 너트의 머리 부분이 망가지면 손가 락 협착 및 몸에 중심을 잃을 수 도 있다.
나. 슬래그 해머 사용 시 슬래그 및 스패터등 이물질이 눈에 들어 갈 수 있다.
 
-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 보안경 착용 및 안면 보호 장구 착용 후 실시한다.
 
 

 



2. 전동공구

가. AIR GRINDER 사용 시 비산되는 칩에 의해 서 눈에 이물질이 박힐 수 있다.
나. AIR GRINDER 사용 시 인화 물질로 인한 화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다. AIR GRINDER 사용 시 연삭 숫돌이 이탈되 어 다칠 수 있다.
라. 전기 GRINDER 사용 시 강한 회전력에 의 한 튕김 현상으로 다칠 수 있다.
 
- 보안경 착용 및 안면 보호 장구 착용 후 실시한다.
- 주변에 인화성 물질을 여부를 확인하고 위 험요소를 제거한다.
- 사용 전 연삭 숫돌 조임 상태 반드시 실시 한다.
- 이탈 되거나 튕기지 않도록 고정을 하며 안전거리를 확보한다.
   



3. 전단기

 
가. 부재 절단 시 절단기에 손가락을 다칠 수 있다.
나. 부재를 전단기 위에서 이동 시킬 때 손가락이 협착 되어 다칠 수 있다.
 
- 안전 센서 작동 여부 수시 확인 하며 서두르 지 않는다.
- 손바닥을 이용하여 밀고 급하게 서두르지 않 는다.
 
 



4. 절곡기

 
가. 부재 벤딩 작업 시 손가락이 DOWN 되 는 램에 협착 되어 다칠 수 있다.
나. 벤딩도중 부재가 튕겨나가 다칠 수 있 다.
 
- 부재를 제 위치에 SETTING후 잡고 있는 손을 제거하고 램을 작동 시킨다.
- 부재를 램의 중앙에 반드시 위치하도록 해야 하며 작동시 안전거리를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