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접절차사양서에 따른 용접봉 선택 - 1 Ⅰ. 피복 아크 용접봉의 종류 1.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에 관하여는 KS D 7004에 규정하고 있으며, 피복제의 종류, 사용 전류, 용접 자세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2.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의 특성 (1) 일미나이트계 (ilmenite type) : E4301 일미나이트(TiO2ㆍFeO)를 30%이상 함유한 것으로 광석, 사철(hematite)등을 주성분으로 한 슬래그 생성계이며 중간 두께 피복 용접봉으로 모든 자세용접에 사용 된다. 작업성 과 용접성이 우수하고 값이 싸서 조선, 철도 차량 및 일반 구조물은 물론 각종 압력용 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관중인 용접봉을 사용시에는 흡습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나빠져 용접 결함을 유발시킬 수도 있으므로 70~100℃에서 1.. (용접관련 자료) 피복아크 홈 (그루브) 형상과 특징 형태 Ⅰ. 용접부 가공 및 모재의 배치 1. 홈(그루브) 형상의 특징과 형태 이음 홈은 홈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특징을 살리고 선택해야 한다. 용접 홈을 선택할 때는 완전한 용접부가 얻어질 수 있어야 하며 경제적인 시공과 홈 가공이 쉽고, 용접하기가 편해야 하며, 용접 이음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또한 용착 금속의 양도 가능한 적어야 한다. a. I형 홈 (I type groove) 판 두께 대략 6mm 이하의 경우 사용되며, 홈 가공이 쉽고 루트 간격을 좁게 하면 용착 금속의 양도 적어져서 경제적인 면에서는 우수하나 두께가 두꺼워지면 완전 용입이 어렵 게 된다. b. V형 홈(V type groove) 판 두께 20mm 이하의 판을 한쪽 용접으로 완전한.. (용접관련 자료) 피복아크 용접 모재의 선택과 유지관리 - 2 Ⅲ. 용접 모재 보관 및 식별 관리 재료의 제조사에 따라 적정한 강재가 납입되었어도 가공 중에 잘못하면 바뀌게 된다. 따라서 두 종류 이상의 강재를 혼용하는 구조물에서는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재료 전부에 그 강종의 기호를 마킹하여 놓거나 가공 중에 강종에 따라 일차적 인 방청 페인트를 칠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이와 같은 식별 방법은 강재를 잘못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고, 가공, 용접, 변형 제거 등 작업자가 그 강종을 도면과 비교하여 판별할 수 있어 적정한 용접 재료(용접봉) 선택이나 시공법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균열이나 기포 등의 용접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보관 방법에 의하여 용접 모재 의 표면의 녹, 수분, 페인트, 기름기 등이 제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