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
용접치공구의 보관 및 보수 관리, 치공구류의 안전 수칙 Ⅰ. 용접치공구의 보관 및 보수 관리한다. 1. 용접기 설치용 치공구 보관 (1) 치공구는 용접기 설치 장소 또는 용접진행 장소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보관함을 원칙 으로 하며 필요시 최소의 시간 내에 사용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2) 적치대에 보관된 치공구는 공정별로 구분되어 명판을 사용하여 입출이 편리하게 적재 되어야 한다. (3) 치공구 취급 담당자는 사용 후 보관 되어지는 치공구에 대하여 다음 사용 시점까지의 기간을 판단하여 청소, 방청하여 보관하며 차후 사용 시 문제가 없도록 관리하여야한 다(2주 이내 : 청소, 2주 이상 : 청소, 방청). 2. 용접 진행시 사용되는 치공구 보관 (1) 슬래그 해머 및 와이어 브러쉬 니퍼 등은 소모성 공구로 용접중 수시 사용됨으로 용 접사 개인이 개인장구 보관함에..
용접치공구에 대한 이해, 분류, 종류 Ⅰ. 용접 치공구 분류 용접기를 설치하면서 필요한 공기구 및 용접 진행시 용접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하 는 치공구 그리고 검사단계에서 필요한 각종 공기구 및 장비를 총칭한다. 1. 용접기 설치 및 어스선 연결 (1) 1, 2차 케이블 연결 시 단자 조임상태에 맞는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 및 해지 상태에서 맞는 치공구를 선정한다. (3) 용접 관련부품 교체 시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 진행시 (1) 용접부 청결상태 유지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2) 용접부 결함여부와 관계되는 문제점 해결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3) 용접 장비 문제점 발생 시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4) 용접 완료후 검사에 필요한 치공구를 선정한다. 3. 공정별 치공구 (1..
피복아크 용접봉 피복제에 대한 이해와 용접봉 관리 - 2 (3) 아크 분위기 피복제는 아크열에 분해되어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하며, 가스의 근원은 주로 피복제 중의 유기물, 탄산염, 습기 등에서 발생한다. 저수소계에서는 수소 가스가 극히 적고, 일미나이트계, 고셀룰로오스계 봉에서는 일산화탄소와 수소 가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여기에 이산화탄소와 수중기가 소량 포함되 어 있다. 이들 가스가 용융 금속과 아크를 대기로부터 보호한다. 밑에 표는 각종 용접봉에 따른 아크 분위기 생성을 나타냈다. 피복 아크 용접봉 CO CO2 H2 H2O E4301 49.2 4.6 34.4 11.8 E4301 (건조) 57.0 5.1 27.1 10.0 E4311 44.6 3.4 38.8 13.2 E4311 (건조) 45.8 3.1 42.2 8.9 E4313 39.2 3.7 43.5 1..